마하데이터
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 본문
카테고리 없음

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

마하데이터 2025. 4. 16.

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에 관하여

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송신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차적으로 변환시켜 주는 과정을 변조 과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날로그 신호가 송신부의 신호변환장치를 거치게 되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송신부에서 변환된 신호는 전기적인 신호로 전송로를 타고 수신부의 신호변환장치를 거치게 됩니다. 이때 수신부의 신호변환장치는 송신부의 입력되어 들어온 신호로 2차 변조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를 복조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전송하는 데이터를 통신 제어 장치로 직렬화한 다음 그 직렬화한 이진 신호를 가청 주파수로 변환하게 됩니다. 그렇게 변환한 후 통신회선으로 전송해야 하는 신호를 변조하고 복조하는 장치가 바로 변복조기입니다. 우선 단말장치의 주요 기능은 먼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통신 시스템에서 처리한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기능과 장치들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 제어 기능과 오류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제어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호변환장치의 주요 기능은 말 그대로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과 송수신 간의 동기를 제어하는 기능인 전송신호의 동기제어 기능, 송수신 확인 기능, 데이터 전송 오류와 이를 정정할 수 있는 전송오류의 검출 및 정정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변복조기의 기능은 입력되어 들어오는 데이터의 신호변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변조라고 하는 것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복조는 원신호로의 복구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복조기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는 먼저 디지털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있습니다.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가입자회선 종단부에 놓인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와 데이터 단말장치 사이의 경계 또는 경계조건의 규정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경계조건의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데이터 단말장치와 신호변환장치를 연결하는 데이터선이나 제어선의 종류 등에 관한 물리적 조건과 각각의 선상에서의 전기적 조건, 교환망 제어를 위한 데이터 단말장치와 교환기 사이의 신호 방식을 포함한 데이터 단말장치 일체의 접속 조건의 규정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살펴보면 아날로그 전화망에서의 신호변환장치의 일종인 모뎀과 단말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 V시리즈 권고로 표준화됐고, 그 후 본격적인 디지털 데이터 교환망에 데이터 단말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디지털 회선을 대상으로 하여 데이터 단말장치와 교환기 사이의 신호 방식을 포함함 X시리즈 권고가 표준화됐습니다. 다음으로 음향결합기에 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음향결합기는 공중전화교환망에서의 모뎀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공중전화교환망은 모뎀과 전화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전화의 송수화기를 모뎀 위에 얹어 놓으면 송화기에서 들리는 소리를 매개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되는 원리와 같습니다. 특별한 장치 없이도 연결이 가능하고, 대부분의 전화 시스템과 접속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전화기 마이크의 물리적 특성 때문에 고속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음향결합기는 전이중 통신이 가능하고 일반 모뎀보다는 전송 대역폭이 좁으며 사용이 간편합니다. 또한 경제적인 정보 전송이 가능하고 주파수 편이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저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에 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전방 처리기의 개념은 여러 네트워크와 단말기, 디스크 장치 등을 주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용도 컴퓨터를 말합니다. 이 장치는 주변 장치를 관리하고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패킷을 조립하거나 분해하며, 오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류를 수정하는 작업을 호스트 컴퓨터에서 오프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전방 처리기는 메인 처리장치보다 입력 소스에 더욱 가까운 처리장치이며, 원격 측정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며 키보드 입력의 분석 등과 같은 작업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방 처리기는 폴링과 셀렉팅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리고 폴링 방식이 사용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라운드 로빈 방식이라고 하는데 먼저 폴링과 셀렉팅 방식에 관해서 설명해 드리자면 하나의 통신회선 상에 3개 이상의 단말이 있는 분기회선에 있어서 단말기 상호 간의 데이터링크를 확립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분기회선에는 임의의 단말 상호 간에서 통신할 수 있는 양방향 분기회선과 특정한 단말기만 통신하고 다른 단말기와는 통신할 수 없는 편방향 분기회선이 있습니다. 편방향 분기회선의 경우 특정 단말에 다른 단말을 송신할 때는 주국이 순차적으로 종국에 송신의 여부를 조회하게 됩니다. 한편 주국으로부터 종국에게 송신하는 것은 수신하는 종국이 선택하여 수신 준비를 조회합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끝나면 종국에 데이터가 송신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을 바로 폴링과 셀렉팅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라운드 로빈 방식은 시분할 시스템에서의 일반적인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하나의 업무를 중앙처리장치에 대하여 라운드 로빈으로 할당하여, 마치 각자의 업무가 중앙처리장치를 점유하고 있는 것처럼 시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