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전송매체의 종류
-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
-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종류
- 교환 통신망과 데이터의 교환 방식
- 애니메이션 저작도구의 종류
- 링크 연결의 설정 원리
- 애니메이션 기법의 종류
- 변복조기의 개념과 기능
- 흐름제어의 정의
- 애니메이션 저작도구의 특징
- 상호연결망의 구조
-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비교
- 애니메이션의 활용 분야
-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기본 개념
- 애니메이션 기법
- 병렬처리기의 종류
- 링크 연결의 해제 원리
- 애니메이션 기술의 개요
- 데이터 전송 코드
- 병렬처리 시스템의 개념
- 통신제어의 구조
- 교환 통신망과 데이터
- 네트워크의 형태
- 병렬처리 시스템의 분류 방법
- 통신제어의 원리
- 병렬처리기의 정의
- 체증제어의 정의
- 비디오 처리 기술의 개요
-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전 과정
- 비디오 처리 기술의 발전
- Today
- Total
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에 관하여변복조기와 전방 처리기의 개념과 기능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송신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일차적으로 변환시켜 주는 과정을 변조 과정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날로그 신호가 송신부의 신호변환장치를 거치게 되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송신부에서 변환된 신호는 전기적인 신호로 전송로를 타고 수신부의 신호변환장치를 거치게 됩니다. 이때 수신부의 신호변환장치는 송신부의 입력되어 들어온 신호로 2차 변조를 시행하게 되는데 이를 복조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전송하는 데이터를 통신 제어 장치로 직렬화한 다음 그 직렬화한 이진 신호를 가청 주파수로 변환하게 됩니다. 그렇게 변환한 후 통신회선으로 전송해야 하는 신호를 변조하고 ..
교환 통신망과 데이터의 교환 방식에 관하여교환 통신망과 데이터의 교환 방식에 관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음성통신과 같이 회선 교환 방식은 연결회선에 할당된 고정 크기의 안정적인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다른 연결에서 이 대역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음성 교환기가 취하고 있는 기본적인 교환 방식으로는 정보 전송의 필요성이 생겼을 때 상대방을 호출하여 연결하고, 이 물리적인 연결은 정보 전송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되며 정보 전송이 끝나면 해제됩니다. 이러한 회선 교환 방식의 문제점은 일단 물리적 연결이 이루어진 후 그 회선은 다른 사람과 공유하지 못하고 배타적으로 두 사람 사이에만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통화 중인 두 지점 사이에 물리..
통신선로와 네트워크의 형태에 대해서통신선로와 네트워크의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통신선로는 먼저 점대점 선로 방식이 있습니다. 점대점 방식은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송신 측 단말기가 중개 단말기와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다른 단말기로는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 단말기까지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 인접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반복하게 됩니다. 이때 각 단말기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고 중간에 있는 교환 단말기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원거리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통신 방식으로 원거리 통신망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점대점 선로의 네트워크에서는 교환 단말기가 송수신 단말기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들을 연결하는 방식..
전송매체의 종류에 대해서전송매체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꼬임선 케이블입니다. 꼬임선 케이블은 두 가닥의 절연된 구리 선이 균일하게 서로 감겨 있는 형태로 여러 개의 쌍이 다발로 묶여 하나의 케이블을 형성하고 보호용 외피로 감싸져 있습니다. 전선을 서로 꼬아줌으로써 인접한 다른 쌍과 전기적 간섭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이중 나선의 종류로는 차폐되지 않은 비차폐 이중 꼬임선과 차폐 이중 꼬임선이 있습니다. 비차폐 이중 꼬임선은 차폐 이중 꼬임선보다 더 많이 사용되며 전화 시스템 및 랜 가설 등에 사용되고 주파수 영역은 데이터나 음성을 전송하는 데 적합합니다. 하지만 차폐 이중 꼬임선은 비차폐 이중 꼬임선보다 성능이 우수합니다. 이러한 이중 나선의 전송 특성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전송에 ..
데이터 전송 코드와 전송 방식에 관하여데이터 전송 코드와 전송 방식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전송을 대상으로 한 정보의 내용은 음성이나 영상과는 다르게 정보처리장치에 입출력이 될 수 있는 0이나 1로 된 기호열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전기적 신호만으로 통신의 의미가 없으므로, 상호 간의 규정된 데이터의 형태를 약속해야 하는데 이를 전송부호라고 합니다. 보도 코드, 아스키코드, 확장 이진화 10진 코드 등이 있습니다. 먼저 보도 코드는 1874년에 에밀리 보도가 전신인쇄기를 발명하면서 고안됐습니다. 하지만 당시 전신인쇄기는 전자식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됐으므로 비트를 하나 추가하는 것은 인쇄기의 구조를 모두 바꿔야 할 만큼 어려웠습니다. 이후 1992년에 5비트 보도 코드를 전신..
병렬처리기의 정의와 종류에 관하여병렬처리기의 정의와 종류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병렬처리의 정의는 컴퓨터시스템의 처리율 향상을 위해 동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광범위한 기술을 말합니다. 처리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의 수를 늘려서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연산 속도를 높여 단위 시간당 수행할 작업의 양을 증가시키고 속도를 향상해야 합니다. 이렇게 컴퓨터시스템 내에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동시에 활용하는 개념을 병렬컴퓨터라고 합니다. 지금부터 병렬처리기의 다양한 종류에 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파이프라인 처리기입니다. 파이프라인이란 하나의 프로세스를 서로 다른 기능을 여러 개의 서브 프로세스로 나누어 각 서브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취급하도록 연속적이고 동시적..
상호연결망의 구조에 관하여상호연결망의 구조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스를 이용한 프로세서 간의 연결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지만 시스템의 규모가 커지면 하드웨어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합니다. 그렇기에 하드웨어의 복잡성을 줄이고 단일 버스의 구조보다는 성능을 크게 향상하며, 결함 허용도도 높여주는 여러 가지 상호연결망들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상호연결망은 여러 개의 처리 요소를 가진 병렬처리 시스템에서 처리 요소와 기억장치 사이를 연결해 주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네트워크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잠깐 살펴보자면 먼저 대역폭이 중요합니다. 대역폭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을 말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지연입니다. 이는 네트워크를 통하..
병렬처리 시스템의 개념과 분류 방법에 관하여병렬처리 시스템의 개념과 분류 방법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의 응용 분야가 인공지능이나 로보틱스, 우주과학 등으로 다양해짐에 따라 컴퓨터 속도는 계속 향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최고의 시스템 성능 면에서는 부족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스템의 높은 처리율을 얻는 기술이 바로 병렬처리입니다. 또한 병렬처리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나 한 개의 프로그램을 분할하여 각 프로세서가 분담하여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갖춘 컴퓨터를 바로 병렬컴퓨터라고 칭합니다. 최근 대부분의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의 설계에는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병렬처리 시스템을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로 내..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컴퓨터 내부로 전송하는 외부 장치는 입력장치를 말하고 컴퓨터 내부에서 외부로 정보를 전송하는 외부 장치는 출력장치라고 합니다. 또한 입출력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입출력장치, 입출력장치 제어기,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입출력 버스, 입출력 제어기,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주기억장치 버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입출력장치는 프린터나 키보드와 같은 장치를 말하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입출력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시스템에서 처리한 결과 등을 출력합니다. 다음으로 입출력장치 제어기는 입출력장치를 움직이는 구동장치입니다. 모터를 회전시키는 기계적인 장치 등이 바로 입출력장치 제어기이며, 보통..
보조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에 관하여보조기억장치의 정의와 종류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억장치는 크게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구분합니다. 주기억장치는 가격이 비싸고, 보조기억장치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보조기억장치의 정의는 처리 속도가 주기억장치에 비해 느리지만 대량의 데이터를 보관하는 반영구적인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주기억장치에서는 필요한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에서 불러와 실행시키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로는 순차접근기억장치인 자기테이프와 직접접근기억장치인 디스크, 하드디스크, CD, DVD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보조기억장치의 종류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자..